이 책은 스마트폰을 아예 끊자고 말하지 않는다.
끊을 수 없는 시대라면, 끌려가지 않고 스스로 조절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그 변화의 시작점으로 우리는 ‘읽기’와 ‘쓰기’를 제안한다. 무엇보다 AI와 깊이 소통하려면 ‘질문하는 힘’이 필요하다. 그 힘은 단단한 ‘읽기’와 꾸준한 ‘쓰기’에서 나온다. 결국, 좋은 질문은 더 깊은 대화와 풍부한 배움을 이끌어낸다.
독서치료사로서, 우리는 이 작은 습관이 얼마나 큰 변화를 일으키는지 지켜보았다. 지식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 다시 연결되는 길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뇌와 마음이 치유되고 회복되었다.
이제 당신 차례다. 한 줄 읽고, 한 줄 써보라. 그 작은 실천이 당신의 뇌를 바꾸고, 삶을 지탱할 단단한 뼈대가 되어줄 것이다. 당신은 변화 가능성을 지닌 존재이며, 그 변화는 이 책을 펼친 지금 이 순간, 이미 시작되었다.
“건강한 디지털 사회를 위한 제안”
‘읽고 쓰는’ 조용한 습관으로 돌아가야 한다. 읽고 쓰는 행위는 단순해 보이지만, 뇌 안에서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난다. 신경성장인자(BDNF)의 생성을 도와 잠든 세포를 깨우고, 연결을 강화하며, 흔들리던 뇌를 천천히 회복시킨다. 도파민에 휘둘리는 시대, 뇌가 진정으로 원하는 건 더 많은 자극이 아니라 ‘균형’이다.
Part 1. 조용한 침략, 디지털 중독의 시대
1장. 네모난 유혹, 스마트폰 세상
01. 손안의 마법, 잃어가는 경험
02. 디지털미디어와 앱 활용 수업의 실태
03. 뇌는 종이책과 전자책을 다르게 경험한다
04. 스마트폰 시대, 현명하게 꾀하는 길
2장. 뇌를 잠식하는 스마트폰 자극
01. 디지털 중독의 현주소
02. 뇌 기능과 구조의 변화
03. 스마트폰 과사용에서 오는 몸의 경고
04. 도파민을 지혜롭게 선택한 사람들
3장. 디지털 과사용에서 오는 심리 변화
01. 감정이 사라진 아이들
02. 열등감, 자기불구화, 내사
03. 깊어지는 우울과 회피
04. 내 마음을 조종하는 손안의 기계
Part 2. 뇌를 위한 안전지대 만들기
4장. 뇌의 운명이 바뀌는 결정적 시기
01. 평생을 좌우하는 양육 환경
02. 태아~유아(7세까지), 폭발적인 뇌 발달 시기
03. 초등기(7~12세), 뇌 네트워크가 꽃피는 시기
04. 청소년기(12~18세), 뇌가 다시 조직되는 시기
05. 성인기 이후, 느리지만 계속되는 뇌의 진화
5장. 건강한 디지털 사회를 위한 제안
01. 조용한 침입자, 디지털의 영향
02. 외국과 우리나라의 디지털 정책
03. 가정에서 시작하는 디지털 디톡스
04. 건강한 디지털 시대를 위한 사회적 협력
05. 부모에게 숨 쉴 틈을 주자
Part 3. 사랑과 글자가 만든 회복의 길
6장. 읽고 쓰기, 신경세포를 깨우다
01. 읽기의 본질과 의미
02. 글쓰기와 내면의 표현
03. 읽고 쓰기, 뇌를 깨우다
04. 읽고 쓰기, 뇌 연결망을 강화하다
7장. (사례 나눔) 독서, 사랑을 읽는 시간
01. For. 교사) 나는야, 레고 디자이너
02. For. 부모) 금빛 은빛 나비의 꿈
03. For. 친구) 우리는 다르게 살 수 있다
Part 4. 회복의 실천, 책으로 만나는 마음
8장. 마음에 닿는 책 처방전
01. 책 한 권이 건네는 빛
02. 집중력의 빈 곳 책 읽기로 채우기
03. 발달 욕구를 채우는 따뜻한 책
04. 책으로 들여다보는 마음
05. 시로 만나는 연령별 추천 도서
9장. 독서심리상담 프로그램 가이드
01. 마음 북(BOOK)돋움
02. 독서심리상담 프로그램 실제
03. 대상별 맞춤 프로그램 설계 가이드
04. 대상별 적용 프로그램 구성안
05. 발달단계별 예방 중심 6회기 프로그램 실제
06. 주제별 독서심리상담 12회기 프로그램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