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개념 정리부터, 프로그램 지침서, 향후 연구를 위한 조언까지
상담사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도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제시
본 서의 저자는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청소년상담을 시작으로, 국가 및 민간기관에서 청소년, 청년, 성인, 부부, 가족을 대상으로 심리상담전문가로서 꾸준히 활동해 왔다. 지난 18년간 상담 현장에서 다양한 내담자와 마주하며, 개인의 심리적 고통과 회복의 여정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데 헌신하였다.
특히, 상담센터를 10여 년간 직접 운영하면서 상담 현장의 실제적인 요구와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해 왔으며,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저자는 상담이 단순히 문제 해결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회복하고 의미를 찾는 여정임을 믿으며, 이를 실천의 원칙으로 삼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오랜 경험과 성찰의 결과물로, 심리적 어려움 속에서도 삶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부모들에게 작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집필하게 되었다.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는 궁극적으로 자기실현적 측면에서 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 경험에 기초한 행복감이나 만족감, 즉 심리적 안녕감을 가져온다.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게 되면 자율성이 증가하고, 자신을 수용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맺게 되며, 환경에 대한 통제력이 증가한다. 궁극적으로 개인의 성장과 함께 삶의 목적이 달성된다.
본 서에 제시된 프로그램을 습득하게 되면 부모들의 양육죄책감을 줄일 뿐 아니라 심리적 안녕감을 가질 수 있는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방법을 알게 된다. 따라서 본 서는 상담자들이 부모 상담에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모들이 읽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본 서는 총 9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장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부모와 상담자가 이 책을 활용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양육죄책감과 마음챙김_자기자비 및 심리적 안정감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론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Neff와 Germer(2013)의 마음챙김 기반 자기자비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양육죄책감 감소를 위한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의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양육죄책감 감소를 위한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이론으로 설명하였다. 5장에서는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개발 절차 및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회기별 지침서와 워크북을 제공하여 상담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7장에서는 개발한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8장에서는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의 양적·질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9장의 논의 및 결론에서는 선행 연구와 연구자의 연구 결과를 비교하여 학술적 의의를 논의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을 하였다. 저자는 앞으로도 상담현장과 연구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며, 보다 많은 이들이 심리적회복과 성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자 한다.
서문
1장 이론적 개념
양육죄책감
마음챙김과 양육죄책감
자기자비와 양육죄책감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죄책감
양육죄책감, 마음챙김,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2장 마음챙김 기반 자기자비 프로그램(Mindful based Self-Compassion Program: MSC Program)
Neff와 Germer의 연구
Neff와 Germer의 미국 연구
Neff와 Germer의 한국 연구
Neff와 Germer 연구의 양육죄책감, 심리적 안녕감 프로그램 적용
3장 양육죄책감 감소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목표와 전략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프로그램 전략
4장 양육죄책감 감소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구성 요소
Neff와 Germer의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구성 요소
양육죄책감 구성 요소
마음챙김 구성 요소
자기자비 구성 요소
5장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개발 절차 및 최종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발 이론
최종 프로그램
6장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지침서와 워크북
회기별 내용
양육죄책감 감소 부모 집단상담 | 리더용 지침서와 참여자용 워크북
1회 | 리더용 |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1회 | 참여자용 |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2회 | 리더용 | 애정 어린 마음챙김
2회 | 참여자용 | 애정 어린 마음챙김
3회 | 리더용 | 자애명상과 자애메시지
3회 | 참여자용 | 자애명상과 자애메시지
4회 | 리더용 | 자기비난과 자기자비 목소리
4회 | 참여자용 | 자기비난과 자기자비 목소리
5회 | 리더용 | 양육가치와 자비로운 경청
5회 | 참여자용 | 양육가치와 자비로운 경청
6회 | 리더용 | 힘겨운 감정과 화
6회 | 참여자용 | 힘겨운 감정과 화
7회 | 리더용 | 양육죄책감과 양육피로
7회 | 참여자용 | 양육죄책감과 양육피로
8회 | 리더용 | 자기감사와 돌아보기
8회 | 참여자용 | 자기감사와 돌아보기
7장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효과 검증 방법
연구 대상
실험 설계
연구 절차
측정 도구
자료 처리
8장 마음챙김_자기자비 프로그램 효과
집단/지도자 간 동질성 검사
양적 효과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양육죄책감에 대한 마음챙김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질적 효과
9장 논의 및 결론
논의
결론
참고 문헌
부록
부록 1 | 마음챙김 척도
부록 2 | 자기자비 척도
부록 3 | 양육죄책감 척도
부록 4 | 심리적 안녕감 척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