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경전에 기반한
붓다가 자주 머물렀던 공空 명상 수행법
이 책은 붓다가 가르쳤던 ‘비어있음(공, 空)에 머무름’을 우리의 일상과 정규 명상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초기불교의 세계적 권위자인 아날라요 스님은 ‘비어있음’에 대한 초기 팔리어, 중국어, 티베트어 경전들의 비교 연구와 실제 명상 수행에 근거해 ‘최상의 비어있음’으로 점진적으로 도달하는 명상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관련 발췌문들과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설명, 그리고 실제 수행법을 제시하고 있다.
세계적인 초기불교 명상 스승이자 학자인
아날라요Anālayo 스님이 풀어 낸
붓다의 ‘비어있음에 머무는 명상법’
“아난다여, 과거의 어떤 수행자들이나 바라문들이 실로 이 청정하고, 최상인, 위없는 비어있음을 성취하여 머물렀다면, 그들은 모두 바로 이 매우 청정하고, 최상인, 위없는 비어있음을 성취하여 머물렀던 것이다. 아난다여, 먼 미래의 어떤 수행자들이나 바라문들이 청정하고, 최상인, 위없는 비어있음을 성취하여 머물게 될 것이라면, 그들 모두는 바로 이 매우 청정하고, 최상인, 위없는 비어있음을 성취하여 머물게 될 것이다. 아난다여, 현재의 어떤 수행자들이나 바라문들이 청정하고, 최상인, 위없는 비어있음을 성취하여 머문다면, 그들 모두는 바로 이 청정하고, 최상인, 위없는 비어있음을 성취하여 머무는 것이다….”
- 쭐라순냐타숫따
역자 노트
감사의 말
서론
Ⅰ. 일상생활
1. 체화된 마음챙김
2. 말하기
3. 생각
4. 요약
5. 수행을 위한 지침
Ⅱ. 은둔
1. 붓다의 머무름
2. 숲에 대한 인식
3. 정신적 은둔
4. 방해의 비어있음
5. 없음
6. 요약
7. 수행을 위한 지침
Ⅲ. 땅
1. 땅에 대한 인식
2. 까시나로서의 땅
3. 단단함으로서의 땅
4. 요소와 통찰
5. 평온과 통찰
6. 요약
7. 수행을 위한 지침
Ⅳ. 무한한 공간
1. 공간에 대한 인식
2. 공간과 같은 마음
3. 공간을 칠하지 않기
4. 확립되지 않은 마음
5. 요약
6. 수행을 위한 지침
Ⅴ. 무한한 의식
1. 의식의 성질
2. 명과 색
3. 명색을 가라앉히기
4. 요약
5. 수행을 위한 지침
Ⅵ. 자아의 비어있음
1. 통찰과 평온
2. 무상(無常)
3. 자기화와 자만
4. 무아와 조건성
5. 요약
6. 수행을 위한 지침
Ⅶ. 표상없음
1. 표상없음으로의 진행
2. 표상없음의 개념
3. 감각 제어
4. 순전한 알아차림
5. 표상없음에 머물기
6. 요약
7. 수행을 위한 지침
Ⅷ. 열반
1. 최상의 비어있음
2. 사성제
3. 연기
4. 조건성에 대한 명상
5. 조건 지어지지 않은 것
6. 깨달음의 요소들
7. 요약
8. 수행을 위한 지침
미주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