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스러운 양귀비의 드라마틱한 역사.
『꿈결 속 나락(奈落)』이라는 책을 통해,
한 떨기 양귀비 꽃잎과의 애달픈 짝사랑,
그리고 애처롭게 떨어져 가는 운명의 나락 속에서
만고(萬古)의 진리라 할 삶을 깨닫고자 한다.
마약의 역사는 오랜 세월로부터
오늘날까지 인류 문명과 함께해 왔다.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천상의 꽃이라 불리는 양귀비는 인류 역사와 함께 지속되어 온 식물로 하느님이 인간에게 베풀어 준 가장 크나큰 은혜의 선물이라고 생각하는 오랜 전설이 오늘날까지도 실체적 진리처럼 인식되고 있다.
아편에서 고요하게 흐르는 냄새는 향기롭고 그 맛은 푸르른 창공처럼 해맑고 꿀벌보다도 더욱 달콤하다. 이슬비가 하염없이 내리는 날 기분이 울적하고 답답할 때면, 매혹적인 양귀비와 깊은 사랑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겨운 눈길로 서로 마주 바라보며 교대로 입안으로 빨아들일 때면, 처음부터 정신이 맑아지고 머리와 눈이 선명하고 깨끗해진다. 아편의 연기를 계속하여 흡입하면 가슴이 갑자기 확 열리면서 정겨운 흥이 수십 배로 증가하며 선명한 울음소리의 대명사 샛노란 깃털을 간직한 꾀꼬리처럼 고운 여인의 아름다운 콘서트 선율(concert melody)이 은은하게 들리어 오는 듯 무아경(無我境)에 이르게 된다.
인간을 흥분과 쾌감의 포로로 만들고 파멸로 유혹하는 매혹적인 물질 마약의 역사는 오랜 세월로부터 오늘날까지 인류 문명과 함께해 왔다.
머리말
제1장 꿈결 속 나락(那落)에 관한 서론
제1절 마약과 인류 문명
제2절 마약과 인간의 관계
제2장 국제마약류 사범의 실태
제1절 서설
제2절 미주 지역
Ⅰ. 의의
Ⅱ. 콜롬비아의 마약류 생산 현황
1. 코카인
2. 헤로인 및 마리화나
Ⅲ. 소결
제3절. 주요 마약류 약리작용
Ⅰ. 의의
Ⅱ. 케타민(ketamine)의 약리작용
1. 케타민 의존성
2. 중추신경계 작용
Ⅲ. LSD의 약리작용
1. 환각성 마약류
2. 강력한 약리작용
Ⅳ. 죽음의 전주곡 마약의 금단현상
1. 아편의 효과 및 중독
2. 모르핀의 중독성
3. 코카인의 중독증상
Ⅴ. 마약 중독에 따른 내성
Ⅵ. 금단 유발의 원인
1. 약물의 과도한 탐닉
2. 의학적 문제점
Ⅶ. 소결
제4절 동남아 및 기타 지역의 실태
Ⅰ. 의의
Ⅱ. 양귀비과 식물
Ⅲ. 소결
제5절 서남아 지역 실태
Ⅰ. 의의
Ⅱ. 황금의 초승달 지역 경작 및 밀매 현황
Ⅲ. 황금의 초승달 지역 중독자
Ⅳ. 소결
제3장 마약류 밀매조직의 특성과 실태
제1절 마약류관련 국제밀매조직
Ⅰ. 의의
Ⅱ. 러시아 마피아 조직
Ⅲ. 중국의 삼합회 조직
Ⅳ. 동남아시아 마약 관련 조직
Ⅴ. 일본의 야쿠자 조직
Ⅵ. 남미의 범죄조직
Ⅶ. 소결
제2절 메스암페타민의 실태
Ⅰ. 의의
Ⅱ. 전쟁과 마약의 남용
Ⅲ. 환태평양 및 세계적 확산시대
Ⅳ. 소결
제3절 마약류 밀매 및 조직범죄의 특성
Ⅰ. 의의
Ⅱ. 마약류 밀매
Ⅲ. 마약류 범죄조직의 동향
1. 콜롬비아 주요 마약조직
2. 콜롬비아 내 소왕국
Ⅳ. 소결
제4절 세계적 마약류 실태
Ⅰ. 아프가니스탄
Ⅱ. 동남아 지역의 필로폰
Ⅲ. 브라질
Ⅳ. 멕시코
Ⅴ. 마약 밀매 현황
1. 세계 코카인 남용자
2. 마약(코카)의 수익성($)
Ⅵ. 볼리비아 및 기타 국가
1. 안데스 지방
2. 도미니카 공화국
3. 오세아니아 및 기타
4. 펜타닐의 대유행
Ⅶ. 소결
제4장 우리나라 마약범죄의 특징
제1절 우리나라 마약범죄의 실태
Ⅰ. 의의
Ⅱ. 임오군란과 아편
Ⅲ. 피어린 권력 투쟁과 아편의 탐닉(耽溺)
1. 며느리의 치맛자락과 시부(媤父)
2. 비단 치맛자락 속에 숨겨진 아편과 칼날
3. 아편과 조선에 대한 식민지화
Ⅳ. 코카인과 양귀비의 실태
Ⅴ. 청소년층 급격한 확산
Ⅵ. 소결
제2절 최근 마약사범의 동향
Ⅰ. 의의
Ⅱ. 우리나라 외국인 마약사범
Ⅲ. 신종 마약 야바
Ⅳ. 소결
제3절 마약류 사범에 대한 변화
Ⅰ. 마약사범의 추이
Ⅱ. 마약류 밀수사범 특징
Ⅲ. 마약사범에 대한 사법부의 판단
Ⅳ. 범죄수익몰수제도
Ⅴ. 소결
제5장 대마의 성질과 실태
제1절 대마의 유래 및 약리작용
Ⅰ. 대마에 대한 의의
Ⅱ. 대마초 유래와 성격
Ⅲ. 대마의 약리작용 및 합법화
1. 대마 본질적 약리작용
2. 의료용 대마 합법화 논란
제2절 대마의 의존성 및 사용형태
Ⅰ. 대마의 내성 및 사용(吸煙) 형태
1. 대마의 의존성과 내성
2. 대마의 사용형태
Ⅱ. 소결
제6장 대(對)마약 정책
제1절 중남미 지역 마약 정책
Ⅰ. 마약 퇴치를 위한 억압 정책
Ⅱ. 협상 및 합법화 정책
Ⅲ. 소결
제2절 기타 지역의 마약 정책
Ⅰ. 동남아 지역 마약 정책
Ⅱ. 서남아 지역 마약 정책
Ⅲ. 기타 지역 마약 정책
Ⅳ. 소결
제3절 마약류 사범에 관한 입법 및 정책
Ⅰ. 미국 및 남미의 대마약 정책
1. 의의
2. 마약류단속법
3. 해외 공급차단 정책
Ⅱ. 남미 3국의 환경적 토양 및 마약 정책
1. 환경적 토양과 코카인
2. 태평양 연안의 에콰도르 및 카리브해 온두라스의 마약 정책
Ⅲ. 소결
제4절 기타 주요 국가의 대(對)마약 정책
Ⅰ. 동남아 국가 및 기타
Ⅱ. 서유럽 및 기타
Ⅲ. 소결
제7장 결론: 꿈결 속 나락(那落)
參考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