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별 접근과 연습 문제를 통한 전략적 독해법 제시
군무원 비문학 출제 범위를 온전하게 담은 교재
‘군무원만 제대로 국어 군무원 제국 비문학’은 화법, 작문, 독서, 독해, 표준 언어 예절, 순화어, 시간과 절기, 연습하기라는 8가지 챕터로 구성되어 한국어 비문학을 총망라하여 담아내었다. 이 책은 명료하게 정리된 표 내용에서부터, 그레타 툰베리의 연설 등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현실 밀접한 예시를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 낸다. 마지막 챕터인 ‘연습하기’에서는 배운 내용을 머릿속에 정리하며 익힐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학습자는 한국어 비문학과 관련된 모든 내용을 이 책 한 권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장 - 화법
1 담화
1. 발화와 담화
2. 담화의 구성요소
3. 담화의 맥락
4. 담화의 요건
5. 담화의 유형
2 화법의 유형
1. 화법의 개념
2. 화법의 유형
3 화법의 실제 - 토의
1. 토의의 개념
2. 토의의 절차
3. 토의의 종류
4. 사회자와 토의 참여자의 역할
5. 토의의 주제
4 화법의 실제 - 토론
1. 토론의 개념
2. 토론의 일반적인 절차
3. 토론의 종류
4. 토론의 논제
5. 토론의 논거
5 화법의 실제 - 대화
1. 순서 교대의 원리
2. 협력의 원리
3. 공손성의 원리
6 준언어적, 비언어적 표현
1. 준언어적 표현
2. 비언어적 표현
7 공감적 듣기
1. 공감적 듣기의 개념
2. 공감적 듣기의 필요성
3. 공감적 듣기의 방법
8 나 전달법
1. ‘나 전달법’의 개념
2. ‘나 전달법’의 방법
3. ‘나 전달법’의 효과
9 설득 전략
1. 이성적 설득 전략
2. 감성적 설득 전략
3. 인격적(인성적) 설득 전략
제2장 - 작문
1 작문의 요건
1. 통일성
2. 완결성
3. 일관성
4. 단계성
5. 응집성
2 작문의 절차
1. 계획하기(주제 설정)
2. 내용 생성하기(자료의 수집과 선택)
3. 내용 조직하기(구상 및 개요 작성)
4. 표현하기(초고 쓰기)
5. 고쳐쓰기(퇴고)
3 문단 구조의 종류
1. 주지 문단
2. 보조 문단
4 글의 내용 조직 방법
1. 자연적 조직 방법
2. 논리적 조직 방법
제3장 - 독서
1 독서의 특징
1. 독서의 본질
2. 독서의 다양한 특징
2 독서 자료의 선택
1. 글을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
3 독서 맥락
1. 독서 맥락의 개념
2. 독서 맥락의 종류
3. 맥락이 독서에 작용하는 방식
4 다양한 분야의 글 읽기
1. 인문·예술 분야의 글 읽기
2. 사회·문화 분야의 글 읽기
3. 과학·기술 분야의 글 읽기
5 매체에 따른 독서
1. 매체를 활용한 독서의 필요성
2. 매체에 따른 독서 문화의 변화
3. 매체의 특성을 고려한 독서의 방법
6 스키마 이론
1. 개념
2. 종류
3. 독서에서의 스키마의 역할
7 주제 통합적 독서
1. 주제 통합적 독서의 개념
2. 주제 통합적 독서의 장점
3. 주제 통합적 독서의 방법
제4장 - 독해
1 독해의 이해
1. 글의 전개 방식
2. 논증
3. 논증의 오류
2 독해의 실제
1. 사실적 읽기
2. 추론적·비판적 읽기
제5장 - 표준 언어 예절
1. 부모와 부부에 대한 호칭어와 지칭어
2.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어와 지칭어
3. 직장 및 사회에서 사용하는 호칭어와 지칭어
4. 일상생활의 인사말
5. 특정한 때의 인사말
6. 서식
제6장 - 순화어
제7장 - 시간과 절기
1. 시간을 나타내는 어휘
2. 24절기
제8장 - 연습하기
정답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