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 고씨 장흥백파 양진재 문중 10대 종부 기순도 저자의 곁에 늘 함께였던 “장”.
저자는 기쁜 일도 슬픈 일도, 늙어가는 일도 전통 장과 함께였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 장, 전통의 내림 음식들이 나의 삶이며 또 다른 이름이라고 한다.
평생이나 다름없는 저자의 다른 이름표를 책으로 정리하였다.
“양진재 종가의 종부로서 뜻깊은 삶이었다. 늘 고단함이 따르는 삶이기도 했다. 남편을 일찍 잃었고, 나의 소중한 심장 한쪽, 작은 아이도 떠나보냈다. 억장이 무너졌고, 그 슬픔은 헤아릴 수도 없었다. 하지만 그 순간에도 나의 삶은 장독대와 함께였다.”
-1권 조상들의 숨결, 전통 장
“내 삶은 오롯이 장독대와 함께한 세월이었다. 장독대가 깨끗이 닦여 반들반들해지는 것이 신혼이었고, 장맛이 변하지 않고 늘 일정한 맛을 지켜 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중년을 살았으며, 이렇게 귀한 음식 문화를 윗대에서 배운 그대로 자식들에게 전하기 위해 노력하며 황혼을 사르고 있다.”
-2권 300년 씨간장을 지켜 내는 50년의 장 이야기
“음식은 몸으로 말하는 언어이다. 우리나라의 언어인 한글이 소중하듯이 몸으로 말하는 언어인 음식 문화는 작게는 수백 년, 많게는 수천 년을 이어온 소중한 자산이다.”
-3권 양진재 종가의 내림손맛
CHAPTER 1 전통
전통, 아름다운 사명
전통 장류는 어떻게 우리들에게 전해졌을까?
조상들과 함께해 온 메주
한반도의 콩(豆)
세계 대표 콩 발효 음식 의 나라
언제부터 장이 생겨 이렇게 귀한 대접을 받은 것일까?
CHAPTER 2 풍습
장을 담그는 풍습
시어머니의 소금 가마니
숨 쉬는 장독
지혜로운 발효
장독의 신
간장(우리간장)
철륭신께 드리는 정성
전통 장이 약손이다
월봉산의 맑은 물
건강한 장류 문화의 계승
CHAPTER 3 음식의 맛은 장맛
간을 하다
간장 맛이 음식의 맛
유구한 전통 속 살아 숨 쉬는 발효 문화
만일사 설화 - 고추장 이야기
비상식량으로 사용되었던 청국장
별미 장
CHAPTER 4 문화
문화는 언제나 대중의 요구에 의해 시작되고 완성된다
에필로그
<2권>
CHAPTER 1 360년 장독 이야기
장맛
씨간장 항아리
종부의 몫
마음의 고향 반송리
청화큰스님
아이들도 기도한다
봉제사 접빈객 종가의 10대 종부
종손의 아린 마음
간장 맛은 물맛
전통은 미래
CHAPTER 2 장 담그기
간장, 된장, 고추장은 우리나라 3대 장
메주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별미 장
CHAPTER 3 장이 단 집, 복(福)이 많은 나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 우리가 멋진 한국인
<3권>
CHAPTER 1 아름다운 사명
전통, 지켜가야 할 아름다운 사명
추석과 설 명절
제례
종가를 찾는 사람들
CHAPTER 2 전통 장을 이용한 우리 음식
1. 간장을 이용한 음식
<청장>: 우엉탕│김밥│자연송이국│죽순전│오이냉국│상추지국
<중간장> : 고추적│소고기 장조림│간장 굴비│간장 김치│제피 김부각
<진장> : 참게장│능이버섯전│전복초
2. 된장을 이용한 음식
시래기 된장국
된장 찜
된장찌개
수육
머위나물
3. 고추장을 이용한 음식
육회
죽순 회 무침
고추장 돼지볶음
해물볶음
더덕장아찌
4. 청국장을 이용한 음식
청국장찌개
청국장 무국
5. 별미 장
깻묵장
신건장
집장
6. 언제나 반가운 손님, 손님맞이 상차림
쌀 식혜
쌀 조청
도라지 정과
약과
CHAPTER 3 360년 씨간장으로 만드는 제례음식
육포·
소고기 산적
죽순 갈비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