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출간도서

목록으로

시론적 문예작업

출간일
2018-04-27
저자
문희주
분야
문학
판형
신국판(152 X 225)
페이지
298
ISBN
979-11-6275-105-3
종이책 정가
15,000원
전자책 정가
7,500원
저자소개

문희주

• 제주도 세화 출생濟州道 細花出生
• 영남신학대학교 졸업·장로회신학대학원 졸업
• 경주문예대학 졸업·서울문화예술대학 중퇴
• USA. Trinity Washington University(Th.M)
• USA. Cumberland University(Honoray.Ph.Ed)
• USA. Trinity Washington University(Th.D)course
• 중국 연변해양대학 부학장 역임
• 중국 연변문예대 학장 역임
• 한국 [문학21] 시인 등단
• 한국 [생활문학] 문학평론가 등단
• 제주문협회원·평론분과장
• 제주펜크럽회원
• 크리스찬문학회원·감사
• 국제문학 제주지사장·신인작품심사위원

저서著書

『열린수업의 실제』, 『웃음의 미학과 놀이』
『논문작성법 이론과 실제』, 『논리학개론』
『실크로드 선교행전Ⅰ·Ⅱ 』 등 15권이 있음

시집詩集

• 제주어시집 『유채고장 피민 삼월이우다』
• 항해시집 『갈매기의 꿈』
• 신앙시집 『열리는 새날에』
• 은혼기념시집 『당신의 바다』
• 회갑기념시집 『북간도 사모곡』
• 선교사역시집 『아사셀 애가』
• 순례자서사시집 『실크로드를 순례자Ⅰ·Ⅱ』

시인이며 문학평론가인 문희주 교수의 초보자의 시문학 입문서


시인에게 있어서 언어는 시의 재료이고 시인은 이 언어를 재료로 시를 쓴다. 시인이 겉으로 보기에는 문장을 작성하는 것처럼 보이나 재료인 낱말들을 돌이나 금속같이 재료로 끌어안아 깎고 다듬어 균형과 불균형이라는 미학적 구도 속에 결합·조직하는 것이다.


프롤로그 

001. 저술과 출판의 변 

1. 글을 잘 쓰는 까닭? 

2. 문학을 하는 마음과 자세 

3. 문학을 위한 글쓰기 


Ⅰ. 문예작업의 이론


102. 문화란 무엇인가? 

1. 문화의 의미와 용어 

2. 문화의 갈래 

3. 문화의 요소와 발전 


103. 예술藝術이란?

1. 예술의 의미와 개념 

2. 좁은 의미의 문화 예술 

3. 예술은 파악하는 것이다 


104. 문학이란 무엇인가? 

1. 문학의 의미 

2. 문학의 갈래 [산문&운문] 

3. 문학의 실체 


105. 문예와 창작에 대하여 

1. 문예 창작으로서의 기제 

2. 문예 창작기법을 익히는 일 

3. 문예창작인의 창작의식 


106. 예술과 사상에 대하여 

1. 예술과 철학 

2. 예술의 실존 

3. 예술과 종교 


Ⅱ. 시와 창작작업


207. 시詩란 무엇인가? 

1. 시詩의 개념 

2. 서정성(예술성) 

3. 묘사성(미술성) 

4. 음율성(음악성) 

5. 철학성(사상성) 


208. 시詩의 갈래分類 

1. 서정시抒情詩 Llyric

2. 서사시敍事詩 Epic poetry 

3. 극시劇詩 Dramatic Verse 

4. 정형시定型詩 라임Rhyme·베르Verse 

5. 자유시自由詩 베르Vers·리브르Libre 

6. 산문시散文詩 prose poem 


209. 시의 특성과 자아 

1. 시와 산문의 차이 

2. 현대시의 특성 

3. 서정적 자아/ 시적자아 


210. 시의 언어言語 

1. 시어詩語의 의미 

2. 시어의 재료 

3. 시어의 특징 

4. 시어의 층위層位 


211. 시의 운율韻律 

1. 운율韻律의 개념 

2. 운율의 종류 

3. 시의 압운押韻 Rhyme. Rhyming 

4. 시의 율격 


212. 시의 비유比喩 

1. 비유의 구조 

2. 은유隱喩 Metaphor 

3. 직유直喩 Simile 

4. 의인법擬人法 Personifcation 

5. 환유와 대유/ 제유 


213. 시의 상징象徵 Symbol 

1. 상징의 정의 

2. 상징의 형태 

3. 상징의 특성 


214. 시의 이미지IMAGE 

1. 용어와 의미 

2. 이미지의 형태 

3. 이미지의 역할 


215. 시의 아이러니와 역설 

1. 시의 아이러니 

2. 아이러니의 분류

3. 시의 역설 Paradox逆說 


Ⅲ. 시의 퇴고작업


316. 시작詩作의 출발과정 

1. 詩作으로 나가는 길 

2. 시작을 위한 사유思惟 

3. 시를 쓰는 3단계 과정 

4. 시의 제목 붙이기 


317. 詩作의 퇴고과정 

1. 퇴고의 뜻과 유래 

2. 시의 퇴고작업 

3. 시의 퇴고의 실례 


서평 - 월랑의 문학세계와 문화적 이해를 향한 삶의 열정 

에필로그 

참고도서 

닫기

출판상담문의

오전 9시 ~ 오후 6시

070-4651-3730

세상과 책을 잇는
마중물같은 출판사
지식과감성#

고객센터 전화상담

070-4651-3730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시간 : 11시 25분 ~ 1시)

1:1 온라인 상담

지식과감성# 카카오플러스 친구 추가

메일 또는 카카오톡으로 상담 신청 가능

원고 및 파일전송

웹하드 접속하기
아이디 : ksbookup 비밀번호 : ksbook